올해 상반기 20·30대의 신차 등록 비중이 1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면 60대와 70대의 등록 점유율은 매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8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0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는 2만9066대로 전체의 5.7%에 불과했다. 2016년 8.8%에서 매년 감소해 지난해 6.7%까지 떨어졌고, 올해는 6%선마저 무너질 가능성이 커졌다.
30대의 신차 등록 점유율 역시 하락세다. 올해 상반기 승용 신차 등록 대수는 9만9611대, 점유율은 19.5%로 나타났다. 2016년(25.9%)과 비교하면 10년 새 6.4%포인트(p)나 떨어졌으며 올해 처음으로 20%대 아래로 내려앉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같은 흐름은 공유 문화 확산과 차를 필수품으로 여기지 않는 인식 변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고유가와 자동차 가격 상승, 경기침체 등 복합적 요인으로 신차 구매를 꺼리는 20·30대는 차량공유 앱이나 대중교통을 선호하고 있다.
반면 60대와 70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같은 기간 60대의 신차 등록 대수는 9만2123대, 점유율은 18.0%로 집계됐다. 2016년 9.6%에 불과했던 수치가 2배 가까이 뛴 셈이다. 70대의 점유율도 2016년 2.8%에서 올해 상반기 4.5%로 늘었다.
고령 운전자의 면허 자진 반납이 권장되는 흐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60·70대의 차량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로 인해 60·70대까지 경제활동이 이어지고 있고, 이로 인해 이동수단으로서 차량을 포기하지 못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20·30대의 신차 구매 감소에는 경기 불황 외에도 공유 문화 확산으로 차량을 굳이 소유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도 자리 잡고 있다"며 "60·70대는 최근 취업전선에 나서는 분들도 많은 만큼 이동권을 위해 차가 필요한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