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군함도 관련 후속 조치를 유네스코에 재차 촉구하려던 우리나라의 시도가 무산됐다. 그러나 국제 무대에서 강력하게 공론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군함도 의제의 정식 채택 여부를 표결에 부쳤다. 그간 우리나라는 일본 측의 후속 조치 이행이 미흡했기 때문에 정식 안건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해왔다. 하지만 일본은 ‘이미 논의가 끝난 문제'라고 주장해 결국 투표를 실시했고 21개 위원국 중 기권 8표, 찬성 7표, 반대 3표, 무효 3표로 일본의 주장이 관철됐다. 이날 투표는 각 위원국들의 정치적 부담을 고려한 한일 양국의 제안에 따라 익명투표로 진행됐다.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세 배 가량 많은 분담금을 유네스코에 내 왔다.
이번 표결 결과는 유네스코 회의장이 아닌 한일 양국 간의 협상 테이블에서 군함도 문제를 풀어나가라는 의미다. 이에 따라 일본은 군함도와 관련해 앞으로 최소한 유네스코에서는 부담을 덜게 됐다.
관련기사
우리 외교부는 “결과적으로 의제 채택에 필요한 표가 확보되지 못한 점은 유감스럽다”며 "앞으로도 양자 및 다자차원에서 일본이 스스로의 약속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지속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정부는 과거사 현안에 대해서는 우리의 입장을 분명히 해 나가면서도 일본과 상호 신뢰 하에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이어나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일본은 지난 2015년 7월 군함도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일본 나가사키현의 섬인 군함도는 일제 강점기 조선인들이 강제 동원돼 매일 12시간 이상 석탄을 캐던 곳이다. 이 때문에 일본은 군함도 등재 당시 강제 노역 사실을 명시한 전시 센터 설립 등 후속 조치를 약속했고, 후속조치 이행에 관한 보고서를 지금까지 네 차례 제출했다. 그럼에도 지난 2020년부터 일본 도쿄에 운영되고 있는 전시 시설에서는 강제 동원에 대한 설명을 찾기 어렵다. 지난 2021년 강경화 당시 외교장관이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취소를 요청하는 서한을 유네스코에 보낸 배경이다. 특정한 세계유산과 관련해 후속 보고서가 여러 번 제출된 것도, 과거사 갈등 탓에 이 같은 표결이 이뤄진 것도 유네스코에서는 이례적인 일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