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가 올 하반기 ‘부산크루즈산업협회’(가칭)의 공식 출범을 목표로 발족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협회가 출범하면 크루즈 산업 관련 기업 간 관계망을 강화하고 여객터미널 활성화와 항만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정책 제언 등 실질적 협업의 구심점 역할을 할 전망이다.
4일 BPA에 따르면 이 기관은 해운, 항만, 관광, 선용품 공급 등 다양한 분야가 융합된 크루즈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지난 6월부터 협회 설립을 추진해왔다. 유럽과 북미 등 크루즈 산업 선진국에서는 크루즈 산업이 단순 여객 운송을 넘어 지역경제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주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부산항 역시 올해 크루즈선 185항차 입항과 20만 명이 넘는 관광객 유치로 코로나19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실제 크루즈 관광객과 업계의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공식 협의 채널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BPA는 팬스타그룹, 롯데관광개발, 부산관광공사, 부산시관광협회 등 국내 주요 기관과 머리를 맞대 왔다.
또 로얄캐리비안, 카니발, MSC, 노르웨이지안(NCL) 등 글로벌 4대 크루즈 선사를 비롯해 이들의 국내 기항을 전담하는 동방선박, 유니푸로스, 월럼쉬핑, 한보에이전시 등 업계 대표자들과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송상근 BPA 사장은 “크루즈산업은 항만을 넘어 도시 전체의 이미지와 경쟁력을 제고하는 융복합산업”이라며 “올 하반기 부산크루즈산업협회를 중심으로 민관 협업을 더욱 강화해 부산항이 동북아 크루즈 중심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