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역사상 처음으로 미국 출신 교황이 탄생했다.
8일(현지 시간) 바티칸 교황청은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에서 제267대 교황으로 미국의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69) 추기경이 선출됐다고 밝혔다. 콘클라베 이틀만이자 총 네 번째 투표에서 결정됐다. 그는 유력 후보군에 들지 않았던 데다 초강대국 출신의 교황을 꺼린다는 금기가 깨졌다는 점에서 ‘깜짝 선출’로 평가된다.
새 교황의 즉위명은 ‘레오 14세’다. 19세기 후반 노동자의 권리와 사회 정의를 옹호했던 레오 13세 교황(재위 1878~1903년)의 유산을 이어받겠다는 취지라고 교황청 대변인은 설명했다. 1955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난 레오 14세는 1982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이후 20년간 페루에서 선교사로 활동하며 페루 국적도 취득해 이중국적을 소유하고 있다. 미국인이면서도 남미의 오지와 빈민가에서 가난하고 어려운 이들을 위해 헌신해 온 행보가 추기경들의 지지를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레오 14세의 첫 일성은 ‘평화’였다. 선출 직후 바티칸 성베드로대성전의 ‘강복의 발코니’에 올라 군중에게 한 첫인사에서 “평화가 여러분 모두와 함께 있기를”이라고 말했다. 또 “고통받는 이들과 가까이 있는 교회가 되길 원한다”고 밝혔다. 이날 그는 영어가 아닌 이탈리아어·스페인어·라틴어를 사용했다.
레오 14세는 고(故)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2023년 추기경으로 승품된 지 2년 만에 가톨릭 교회 최고 수장인 교황에 올랐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측근으로서 기본적으로 개혁적인 성향이나 개혁·보수 중 어느 한편에 서기보다는 균형을 잡는 중재자 역할에 능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레오 14세는 9일 바티칸 시스티나성당에서 추기경들과 함께 미사를 집전하고 수일 내 취임식을 가질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