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가계와 기업들이 투자 결정을 미루고 있다. 기업들의 설비투자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3월 주택 거래량은 16년 만에 가장 적었다.
24일(현지 시간)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3월 미국의 기존 주택 매매량은 연율 402만 건으로 2월보다 5.9% 급감했다. 이는 2022년 11월 이후 가장 큰 월별 감소 폭이다. 통상 미국에서도 3월은 주택 매매가 성수기에 진입하는 시점이다. 새 학년이 9월 시작되는 곳이 많은 미국의 특성상 7월부터 시작하는 여름 방학 기간 중 이사를 하기 위해 봄철 거래가 늘어나서다. 하지만 3월 주택 거래량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 이후 3월 거래량 가운데 가장 적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몇 주 동안 경제적 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더 많은 구매자들이 불안해졌고 일부 주택 매매는 무산됐다”며 “미국인들은 경제에 대한 우려와 함께 일자리 위기, 주택 가격 하락에 대한 우려 때문에 새 집 구매와 같은 중요한 결정을 미루고 있다”고 짚었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3월의 거래 감소는 공급보다 수요가 부족한 새로운 국면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그동안 미국 주택 시장에서는 2022년 3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끌어올린 후 매물 부족으로 거래가 이뤄지지 못하는 흐름이 이어졌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2~3%대의 대출이자를 내고 있던 집주인이 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가려면 새 집에 대한 대출이자로 6~7%를 지불해야 해 이사를 포기하고 매물을 내놓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더 이상 이사를 미룰 수 없는 집주인들이 매물을 내놓으면서 주택 재고가 수요보다 많은 분위기다. 현재 매매 속도를 고려하면 쌓여 있는 재고는 4개월 치에 이른다. NAR의 수석이코노미스트인 로런스 윤은 “재고가 증가했음에도 주택 매매 시장은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올해 주택 시장의 의미 있는 회복세를 기대했지만 아직까지는 증가세가 없다”고 말했다.
기업들도 공장 설비를 늘리기 위한 신규 투자를 유보하는 분위기다. 이날 상무부가 발표한 3월 내구재 주문 지표 가운데 세부 항목인 핵심 자본재 증가율이 전월 대비 0.1%에 그쳤다. 핵심 자본재는 기계와 소프트웨어 등 기업들의 설비투자 의향을 보여주는 지표다. 전월 -0.3%로 주문이 감소했던 기저 효과를 고려하면 3월 들어서도 기업 설비투자는 정체됐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관세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이 길어질수록 기업과 소비자들의 지출이 위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CIBC캐피털마켓의 경제학자 알리 자페리는 고객 메모에서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로 인한 고통은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