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6·3 대선 경선이 3자 구도로 치러지는 가운데 각 후보들은 모두 ‘경제’를 핵심 의제로 부각하고 나섰다. ‘먹사니즘(먹고사는 문제)’과 성장, 실용주의 등을 앞세운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에 맞서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경선 후보 등록 후 첫 일정으로 경제에 방점을 둔 민생 행보에 돌입했다.
김 지사는 15일 경기도청에서 ‘자동차 부품 업계 관세 대응을 위한 후속 조치 점검회의’를 열고 기업들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조치 대응책을 논의했다.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지낸 ‘경제통’인 김 지사는 앞서 지난주 자동차 부품 관세 대응을 위해 미국 미시간주를 방문했다. 김 지사는 방미 후속 조치를 점검하는 성격의 이날 회의에서 “자동차 관세 문제에 있어 미시간주와 경기도의 협력 채널을 구성하기로 했고 미국 지방 정부와 우리 기업들 간 연대를 늘려야 한다는 취지의 대화를 나눴다”며 성과를 부각했다.
김 전 지사는 ‘다시, 국민과 함께! 다시, 일어서는 민생경제’를 주제로 자영업자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업종별 자영업자들은 대출 상환의 어려움과 국내외 정치 상황으로 인한 영업 악화 등을 토로했다. 이에 김 전 지사는 “노란우산공제 등 폐업하는 자영업자에 대한 대책이 있기는 하지만 제도적으로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소비심리 위축으로 가게 문을 닫는 악순환을 끊기 위해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추가경정예산도 (정부에서는) 10조 원을 말하는데 이런 면피용 추경으로는 경제 살리기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경선을 앞두고 민주당 대선 주자들이 경제 수권 능력을 강조하고 나선 것은 이 전 대표의 ‘우클릭’ 행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전 대표의 독주 체제를 전망하는 시각이 우세한 가운데 기존 지지층을 넘어 중도층을 최대한 흡수하기 위한 전략을 택한 것이라는 평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