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韓, 왜 중국의 미래산업 굴기 외면하나 [김광수 특파원의 中心잡기]

中 첨단산업 빠른 성장에도 애써 무시

사업 부진, 악화된 한중관계 등 탓만

그러는 사이 韓기업 중국산에 밀려나

냉정한 시선으로 中시장 등 분석해야

중국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F&F의 MLB 중국 700호점 전경. 서울경제DB




“중국이시네요?”

2019년 모 기업의 언론인 해외 연수 프로그램에 지원했을 때 여러 번 들었던 말이다. 서류를 접수할 때도 면접 심사를 받을 때도 연수 희망 국가로 중국을 선택한 것에 관심을 받았다. 연구 주제로 삼은 중국의 핀테크 금융에도 심사위원들은 모두 의문을 제기했다. 금융 분야의 선진국이라면 미국이나 영국, 아시아권에서는 홍콩이나 싱가포르 같은 나라가 있는데 왜 하필 중국이냐는 질문을 받았다. 중국은 모바일페이가 일상화돼 있고 은행·보험 등 핀테크를 기반으로 한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을 그들은 알지 못했다. 각계 전문가들이라는 면접관들이 미국과 함께 주요 2개국(G2) 국가로 부상한 중국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다는 점이 신기할 정도였다.

4년여가 지났지만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 각계의 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굳이 알려고 하지도 않고 때로는 애써 무시하는 게 느껴진다.

지난달 28일 중국이 자체 생산한 첫 제트 여객기 C919가 상하이와 베이징 간 노선에 취항했다. 유럽의 에어버스(Airbus)와 미국의 보잉(Boeing)이 양분한 시장에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가 가세해 항공기 시장의 판도가 ‘ABC’ 체제로 전환될지 외신들의 관심도 뜨거웠다. 한국 내 반응은 정반대다. ‘핵심 부품은 모두 외국산이다’ ‘메이드 인 차이나 비행기를 불안해서 어떻게 타느냐’ 등 중국의 기술을 폄하할 뿐이다.

중국유인우주국은 4일 우주정거장을 건설하던 우주비행사 3명이 186일 만에 무사 귀환했다고 밝혔다. 우리도 최근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며 우주강국의 꿈을 키워가고 있지만 유인 우주선 발사를 넘어 우주정거장 톈궁까지 만들어낸 중국의 기술력에는 한참 뒤지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이 인정하지 않더라도 중국은 그렇게 발전해오고 있다. 외국 기업으로부터의 핵심 인력 빼내기와 기술 탈취, 자국 기업 성장을 위한 차별적인 정책 등은 국제적으로도 비판받는다. 그렇다고 해도 중국이 그런 방법들로만 지금의 성과를 이뤄낸 것은 아니다. 유능한 인재들을 발굴하고 막대한 정부 지원이 더해지면서 빠른 성장이 가능했다.

중국과의 기술 격차로 인해 중국은 물론 세계시장에서 우위를 점했던 우리 기업들은 갈수록 어려운 상황이다. 삼성전자의 휴대폰이나 현대차그룹의 중국 내 승용차 시장점유율은 10여 년 전에 비해 크게 추락했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오포·비보·샤오미 등이 삼성전자의 시장을 뺏어갔다. 현대차와 기아도 중국산에 점차 밀려나고 있다. 혹자는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글로벌 3위를 차지하는 데 중국 시장 점유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지금은 맞지만 앞으로는 틀릴 수 있다. 중국 시장을 뺏긴 것처럼 세계시장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은 충분하다. 적당한 기술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우리 제품보다 기술 차이는 별로 없지만 훨씬 싼 가격의 중국산이 공세를 취하는 상황이다. 중국은 그런 점에서 한국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어떤 운명에 처하게 될지 예측하는 바로미터가 될 수도 있다.

아직도 한국에서는 중국 내 사업 부진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이후 악화된 한중 관계, 중국인의 궈차오(애국 소비) 성향 등을 이유로 든다. 그 이유가 전적으로 맞는다면 악화되는 미중 관계에도 애플 제품이 잘 팔리는 현상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MLB 브랜드를 앞세운 한국 패션 기업 F&F의 성장도 마찬가지다. 언제까지 한류에만 기댈 것인가. 중국 시장에 대한 철저한 분석 없이는 아무리 잘나가는 세계 최고 기업이라도 발을 붙일 수 없다. 중국은 버릴 수도 없고 버려서도 안 되는 시장이다. 중국을 무시한다고 해서 우리에게 도움이 될 것은 없는 만큼 더 냉정한 시선으로 중국을 바라봐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