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저출산·코로나·집값 폭등…'1,000만 서울' 깨졌다

■32년 만에 인구 1,000만명 밑돌아

지난해 내·외국인 991만명 등록

'출산율 급감' 0 ~ 4세 10% 감소

'코로나 여파' 중국인 3.2만명 뚝

'부동산 급등' 서울 밖으로 쫓겨









32년 동안 ‘인구 1,000만 도시’로 자리매김했던 서울의 전체 등록 인구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1,00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저출산·고령화가 근본적인 원인이다. 여기에 더해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수도권으로 터전을 옮긴 사람이 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외국인 유입이 줄어든 것도 복합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서울시는 총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991만 1,088명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 중 내국인은 966만 8,465명이고 외국인은 24만 2,623명이었다. 지난 1988년 처음으로 1,000만 명(1,029만 명)을 넘은 이래 줄곧 ‘1,000만 도시’ 위상을 지켜온 서울시 인구가 32년 만에 1,000만 명 미만으로 줄었다.

내국인 기준으로 서울시 인구 1,000만 명 선이 붕괴된 것은 2016년이었다. 하지만 외국인을 포함한 전체 등록 인구가 1,000만 명 이하로 내려간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대표되는 주거 환경 불안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외국인 유입이 줄어든 것이 표면적인 원인이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작용했다.

한국전쟁 직후였던 1953년의 서울 인구는 101만 명에 불과했다. 이후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인구 유입으로 1990년대 초반까지 서울 인구는 꾸준히 증가했다. 하지만 1992년 1,097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 감소하기 시작했고 2016년에는 처음으로 내국인 인구가 1,00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외국인 인구까지 큰 폭으로 줄며 전체 인구 감소에 영향을 줬다. 지난 1년 동안 내국인 인구가 0.62%(6만 642명) 감소한 데 비해 외국인 인구는 13.93%(3만 9,253명) 감소했다. 특히 중국 국적(한국계 포함)이 3만 2,000여 명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25∼29세 인구가 85만 8,648명으로 가장 많았다. 45∼49세가 81만 9,052명, 50∼54세가 80만 7,718명으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 인구 증감을 보면 0∼4세 인구가 10.26% 감소했고 85∼89세 인구는 11.42% 증가했다. 저출산 및 고령화 현상이 서울의 인구 분포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는 얘기다.



자치구별 인구는 송파구(67만 3,926명)가 가장 많았고 중구(13만 4,635명)가 가장 적었다. 전년보다 인구가 증가한 곳은 강동구(2만 3,608명)와 영등포구(6,381명)뿐이었고 나머지 23개 구는 인구가 감소했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인구 중 65세 이상의 비중은 15.8%로 집계됐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의 14%를 차지하면 고령 사회로,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정의한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강남구와 송파구를 제외한 나머지 서울의 23개 구는 고령 사회 기준(14%)을 넘어섰다.

서울 전체 인구를 연령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있는 중위 연령은 43.2세였다. 2019년 42.7세보다 0.5세가 늘었다. 유소년(0~14세) 인구는 101만 2,297명으로 전체의 10.2%를 차지했고 생산 가능(15~64세) 인구는 733만 460명으로 전체의 74.0%였다.

서울의 인구 감소는 지난해 국내 전체 사망자가 출생자를 넘어선 이른바 ‘인구 절벽’ 현상이 발생한 것과도 맥락을 같이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모두 5,182만 9,023명으로 전년도 말보다 2만 838명 감소했다. 지난해 사망자가 30만 7,764명을 기록한 반면 출생자는 27만 5,815명에 그쳤기 때문이다.

정부는 인구 감소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부터 ‘제4차 저출산·고령 사회 기본 계획(2021~2025년)’을 시행한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따르면 4차 기본계획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족 지출 비중은 지난해 1.48%에서 오는 2025년 1.6%로 늘어난다. 하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2.4%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예상 합계 출산율 역시 0.8명대로 OECD 회원국 37개국 중 유일하게 0명대를 기록했다.

정부는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약 200조 원을 투입했다. 올해도 36조 원을 배정하는 등 2025년까지 196조 원의 예산을 추가 투입할 방침이다. 하지만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재정 투입보다는 체계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삼식 한양대 고령사회연구원장은 “출산에 대한 젊은 층의 부정적인 인식은 예산을 앞세운 인센티브식 정책으로 움직이는 데 한계가 있다”며 “청년층 다수가 결혼과 출산의 중요 축인 고용·주택·교육 등에서 포기 상태에 있는데 미시적인 정책과 함께 사회 구조적인 변화를 꾀하는 거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engin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