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진회숙의 음악으로 듣는 여행]'오페라 덕후' 마리 앙투아네트의 은밀한 놀이터

■ 베르사이유 궁전 '왕비의 극장'

음악·연극이 따분한 삶의 유일한 낙

후미진 공간에 자기만의 극장 만들어

파이지엘로 걸작 '세빌리아의 이발사'

프랑스에서는 처음으로 이 무대 올라

왕비 무관심 탓에 1785년이후 방치

20세기들어 대대적 복원작업 이뤄져





프랑스 파리 근교에 있는 베르사유궁은 프랑스를 찾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르는 관광명소다. 여름 성수기에는 입장을 기다리는 관람객의 줄이 수십m에 이를 정도로 인기가 있다. 하지만 베르사유궁에 갔다 온 사람 가운데 여기서 ‘왕비의 극장’을 봤다는 사람은 드물다. 대개는 이런 극장이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왜 그럴까. 사람들 눈에 잘 뜨이지 않는 후미진 곳에 있기 때문이다.

왕비의 극장은 마리 앙투아네트가 지은 것이다. 19세라는 어린 나이로 프랑스 왕비가 된 그는 베르사유궁이라는 폐쇄된 공간에서 여느 왕실 여자들과 마찬가지로 패션과 여흥·사교를 즐기며 바깥세상과 상관없는 삶을 살았다. 그는 열렬한 오페라 팬이었다. 하기야 음악의 본고장인 오스트리아 빈 궁전에서 태어나 당대 최고의 오페라 작곡가 크리스토프 글루크로부터 음악교육을 받았으니 음악에 대한 소양이 남달랐을 것이다. 요즘 젊은이들이 유행가를 따라 부르듯이 그는 오페라 아리아를 흥얼거렸으며, 틈만 나면 베르사유에서 파리까지 오페라 공연을 보러 가곤 했다.

음악과 연극은 마리 앙투아네트의 유일한 즐거움이었다. 특별히 정 붙일 곳이 없었던 왕비는 음악을 연주하거나 공연을 보는 것으로 궁전생활의 무료함을 달랬다. 직접 오페라를 보기 위해 파리로 가기도 하지만 궁전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그랑 트리아농의 갤러리나 프티 트리아농의 오렌지 온실에 임시무대를 설치하고 공연을 즐기기도 했다. 프티 트리아농의 살롱에 보면 하프와 하프시코드가 있는데, 실제로 마리 앙투아네트는 하프를 곧잘 연주했으며, 노래도 꽤 잘 불렀다고 한다.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의 ‘왕비의 극장’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의 ‘왕비의 극장’


이렇게 원할 때마다 임시무대를 설치하고 공연을 즐겼던 마리 앙투아네트는 어느 날 자기만의 극장을 지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전속 건축가인 리샤르 미크에게 진짜 극장을 지을 것을 명령했다. 하지만 왕비가 연극같이 천한 것에 돈을 쓰는 것을 곱지 않게 보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래서 모든 것이 비밀리에 이뤄졌다. 왕비의 극장을 사람들 눈에 잘 뜨이지 않는 곳에 지은 것은 이 때문이다.

극장이 완성된 후, 마리 앙투아네트는 왕립 음악아카데미의 음악가들을 불러다 연주를 시키거나 아니면 자신이 친구들과 무대에 올라 직접 공연을 하기도 했다. 1780년부터 1785년까지 마리 앙투아네트는 이런 식으로 자신의 극장에서 놀았다. 그는 취향에 맞는 최신 경향의 오페라나 음악의 공연을 왕립 아카데미 음악가들에게 부탁했는데, 선호하는 작곡가는 글루크와 앙드레 그레트리, 안토니오 사키니, 프랑수아 고세크, 조반니 파이시엘로 등이었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카테리나 2세를 앞에 두고 초연됐던 파이시엘로의 ‘세비야의 이발사’가 1784년 프랑스에서는 처음으로 바로 이 극장 무대에 올랐으며, 계몽주의자 장자크 루소가 루이 16세와 앙투아네트의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작곡한 오페라 ‘마을의 점쟁이’도 이 극장의 단골 레퍼토리였다.

왕비의 극장은 250석 정도 되는 작은 극장이다. 푸른 색과 흰색·금색을 주조로 내부를 장식했는데, 이 장식물과 조각들은 얼핏 보면 대리석이나 금으로 된 것 같지만 사실은 종이를 녹여서 만든 것이다. 프랑스혁명 당시 사람들은 앙투아네트를 사치의 온상이라고 비난했지만, 이 극장을 보면 이런 비난은 온당하지 못하다. 돈을 아끼기 위해 대리석 대신 종이를 썼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장식물의 표면에 금칠을 해 어느 누구도 이 우아한 장식물과 조각들이 종이로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했다. 극장의 천장에는 삼미신과 뮤즈에 둘러싸인 아폴로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왕비의 극장’ 천장벽화


이렇게 장식에는 돈을 아꼈지만 무대 장비는 이 분야 전문가를 기용해 제대로 설치했다. 무대는 상당히 넓어 미닫이문처럼 밀어서 무대배경을 바꿀 수 있는 장치가 여덟 겹이나 있다. 무대 위에는 장치를 움직일 수 있는 복잡한 기계가 설치돼 있는데, 이는 로열오페라하우스의 무대장치를 맡았던 블레즈 앙리 아르눌이 만들었다. 무대 앞 아래쪽에는 약 20명의 연주자를 수용할 수 있는 오케스트라 피트가 있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이 극장을 1780년부터 1785년까지 자신의 문화향유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사용했다. 하지만 어찌 된 일인지 1785년부터 연극과 음악에 대한 왕비의 열정이 시들해졌다. 그 후 극장은 그대로 방치됐다. 그러다가 20세기 들어와 대대적인 복원작업이 이뤄졌다. 그 결과 이 극장의 기계장치는 지금 원한다면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됐다. 18세기에 지어진 프랑스 극장 중 실제 장치를 가동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인 셈이다. 1754년에 공연된 장바티스트 륄리의 오페라 ‘테세’ 제1막에서 사용된 미네르바 신전과 19세기 무대미술가 시세리와 그의 워크숍에서 만든 시골집, 호화스러운 살롱, 숲, 공공 광장 등의 무대장치도 잘 보존돼 있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객석에 앉아 구경하는 것보다 직접 무대에 서는 것을 좋아했다. 그뿐 아니라 왕의 동생인 프로방스 백작도, 절친한 친구인 폴리냐크 백작부인도 모두 배우나 가수가 돼서 무대에 섰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마리 앙투아네트는 맑은 목소리를 가졌었으며, 노래도 곧잘 불렀다고 한다. 뛰어난 솜씨는 아니었지만 적어도 음정에 맞게는 부를 줄 알았다는 것이다. 왕비는 무대에서 주로 하녀나 시골처녀 같은 미천한 역할을 했는데, 이런 미천한 배역에 편안함을 느꼈다고 한다. 왕비로서의 온갖 의무와 격식에 지쳐 있던 녀에게 극장은 일종의 해방구였던 셈이다.

1939년 앙투아네트 아셀리노가 그린 ‘프티 트리아농에 있는 ‘왕비의 극장’ 내부’.


이렇게 왕비를 비롯한 귀족들이 모두 무대에 오르면 객석에는 누가 앉아 있었을까. 하인들이었다. 하인들이 객석에 앉아 무대에서 자기들의 역할을 ‘연기하는’ 높은 분들에게 박수갈채는 보내는 웃지 못할 상황이 펼쳐졌던 것이다.

양치기 소년·소녀가 나오는 마리 앙투아네트의 ‘전원놀이’는 일종의 서민 코스프레라 할 수 있다, 이런 경향은 유럽에서 한때 유행했던 전원화(田園畵)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림에서 귀부인들은 화려한 드레스를 뻗쳐 입고 풀밭이나 나무 그늘 아래서 한가한 오후의 여흥을 즐긴다. 더없이 평화롭고 낭만적인 풍경이지만 사실 이는 ‘전원’하고 아무 상관도 없는 것이었다. 진짜 전원은 그림의 구도 밖, 캔버스 밖에 있었다. 그곳 숲속이나 벌판에서는 민중이 매일의 양식을 얻기 위해 고통스러운 노동을 해야 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에도 전원은 민중에게 절대로 낭만의 대상이 아니었다.

베르사유궁전 후미진 곳에 왕비의 마을을 짓고 살았던 마리 앙투아네트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궁전의 과도한 호사스러움에 권태를 느낀 나머지 인위적인 전원을 만들어놓고 친구들과 함께 전원놀이를 즐겼다. 무대 위에서 허름한 옷을 입고 양치기나 하녀, 농촌 처녀를 노래했다. 그러나 상류사회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선택한 전원의 삶은 그 자체가 허구이자 유희일 뿐이다. 마리 앙투아네트에게는 이런 생활에 싫증이 나면 언제든지 돌아갈 수 있는 궁전이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하인놀이는 고기반찬에 싫증 난 재벌의 시골밥상 같은 것이었다.

그 후 프랑스혁명이 일어났고, 왕비가 하인놀이를 즐기던 극장도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자기 앞에 어떤 운명이 닥칠지 모르는 채 유흥에 빠졌던 철부지 왕비는 알았을까. 왕비의 극장 무대에 섰던 높은 분들이 역사의 주인공이었던 시대가 이제 서서히 저물고 있다는 것을.

진회숙 칼럼니스트


음악 칼럼니스트·여행작가 진회숙



△1957년 서울 △1979년 이화여대 음악대학 △1985년 서울대 음악대학 대학원 △1988년 제4회 객석 예술평론상 수상 △1990~2003년 KBS·MBC 클래식 음악 프로그램 구성작가 및 진행자 역임 △2014~2016년 서울시향 월간지 SPO 편집장 △2016년~현재 서울시향 콘서트 미리 공부하기 강사

◇저서 △클래식 오디세이 △영화와 클래식 △우리 기쁜 젊은 날 등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