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차세대 반도체 공장인 평택 5공장(P5) 건설을 포함해 올해부터 향후 5년간 총 450조 원을, 현대자동차그룹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총 125조 2000억 원을 국내에 각각 투자한다. SK그룹도 용인 반도체 공장 건설 등에 2028년까지 128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 후 국내 투자 부진 우려가 커짐에 따라 파격적인 규제 완화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를 통해 재계 총수와 회동했다. 이날 회의는 관세·안보 협상 결과를 담은 ‘공동 설명 자료(조인트 팩트시트)’가 14일 발표됨에 따라 열렸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등 기업인 7명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다”며 “기업들이 자유롭게 창의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데 최소한 이 정부에서는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비슷한 조건이라면 가급적 국내 투자에 기업이 좀 더 마음을 써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이 회장은 “국내 투자 확대, 청년에 좋은 일자리 제공, 중소기업 및 벤처와 상생에 더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지금 경제 상황이 녹록하지 않지만 국내 산업 투자가 축소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며 “고용도 이전에 약속한 대로 향후 5년간 총 6만 명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각 그룹은 이날 국내 투자 계획안을 내놨다. 특히 최 회장은 향후 용인에 구축할 반도체 클러스터가 완성되면 600조 원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구 회장은 2024년부터 5년간 100조 원을 투자하기로 한 계획을 이행할 것이라고 했다. HD현대그룹은 향후 5년간 에너지와 기계·로봇 분야에 8조 원, 조선해양에 7조 원 등 15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으며 한화그룹은 조선과 방산 분야에 5년간 11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셀트리온그룹은 3년간 설비투자 4조 원, 연구개발(R&D)에 3조 원가량을 투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eeyou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