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토요워치]'故人의 흔적' 지워주고 '수납 마법' 전수하고…진화하는 청소시장

■가사를 맡겨줘! 홈즈

물건 소각부터 악취까지…유품정리 틈새공략

숨은 공간 찾아주는 정리정돈 서비스도 주목





유품정리업체 ‘함께나눔’ 직원이 고인이 사용하던 물건을 폐기하고 있다./사진제공=함께나눔


국내 청소시장이 덩치를 불리면서 틈새시장을 겨냥한 서비스도 다양해지고 있다. 돌아가신 고객을 위한 유품정리업체가 있는가 하면 숨겨져 있던 공간을 찾아내는 수납의 마법을 전수하는 정리정돈업체도 성업 중이다.

특수청소의 한 카테고리를 차지하고 있는 유품정리업은 고령화 속도가 빠른 일본에서 처음 사업화됐다. 단순히 고인의 유품을 정리하고 소각하는 업무 외에 고독사 또는 자살로 생을 마감한 이들의 마지막 흔적을 지우는 일까지도 맡고 있다. 사업자 등록상 업종은 위생관리용역업과 소독업. 이곳에서는 변사체가 놓여 있던 공간의 소독·방역 작업도 함께하고 있어 단순 청소업체와는 결이 다르다.

유품정리업체에 연락하는 의뢰인은 대부분 유족이지만 주민센터 같은 정부기관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한 건을 처리하는 데 들어가는 시간은 오염 정도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저장 강박증을 앓았던 고인이 머물렀던 공간일 경우에는 발을 내딛기 힘들 정도로 쓰레기가 가득 차 있어 3인 1조가 사흘을 오롯이 쏟아야 할 때도 있다. 특수 약품 등을 활용해 악취가 스민 공간을 원래대로 복구하고 분비물이나 머리카락 등 고인의 흔적을 없애는 것도 유품정리업체의 몫이다.



지난 2011년 국내에 처음으로 유품정리업을 소개한 이창호 함께나눔 이사는 “지금까지 받은 의뢰에 비춰보면 전체의 90%는 유족, 나머지는 공적 기관”이라며 “주민센터나 지방자치단체의 정신건강복지센터, 경찰청이나 관공서에서 연락 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설명했다. 이 이사는 최근 전문업체가 아닌 일반폐기물 처리 업체가 마구잡이로 뛰어들면서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방치된 시신에서 발생한 구더기나 파리를 눈에만 보이지 않도록 처리하는 바람에 이웃들이 피해를 입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그는 “국가에서 유품정리사 자격증 제도를 도입해 관리한다면 고독사·자살한 고인의 공간을 처리할 때 소독·방역 측면에서 더욱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집안 전체의 수납 시스템을 점검해 숨겨진 공간을 찾아주는 정리정돈 서비스도 최근 주목받는 서비스 중 하나다. 장롱이나 수납장·책장 등에 무질서하게 보관하는 물품을 버리거나 체계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돕는 정리정돈 서비스는 정리가 잘되지 않는 원인을 진단하고 파악한 원인을 바탕으로 문제를 개선하는 게 핵심이다. 2010년 국내 최초로 정리전문 업체를 선보인 윤선현 베리굿컨설팅 대표는 “치워도 치워도 어수선한 집의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리정돈 서비스는 일반 청소와 다르게 가격이 높다. 단순히 깨끗해 보이도록 물건을 나누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의뢰인의 라이프 스타일과 동선을 고려해 가구나 물건을 재배치하는 업무까지 포함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서비스 요금의 평당 기준이 있더라도 물건의 양이나 의뢰인마다 원하는 정리 수준이 너무나 달라 ‘4시간에 얼마’ 이런 식으로 말하기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고충. 이 때문에 파견인력과 시간을 고려해 서비스 요금을 매기는 차선책을 택하는 곳도 많다. 정리 서비스가 짭짤하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이삿짐센터나 일반 청소업체는 물론 많은 주부가 ‘대박 부업’을 꿈꾸며 뛰어들었다. 지자체에서 경단녀의 복직을 위한 취업 루트로 관련 교육프로그램 이수와 민간자격증인 정리정돈전문가 취득을 권유한 결과다. 다만 자격증을 보유한 이들이 바로 투입돼 일할 현장이 부족하다는 점, 정리전문가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청소 아줌마’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 개선돼야 할 문제로 꼽힌다/이수민기자 noenem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