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스토리텔링] 빵으로 쉽게 보여주는 한국 반도체 이야기

수출 5분의 1 이끌며 한국 경제 버팀목 불구

메모리 호황 저물고 中 '반도체 굴기' 위협

AI 등 차세대 시장선 점유율 한자리수 그쳐

삼성·SK 대규모 투자로 '초격차 전략' 승부수

빵으로 설명하는 한국 반도체 이야기




▲서울경제썸이 기사를 더 재미있게 읽어드립니다▲


강산이 두 번 바뀌는 세월 동안 단 한 번도 세계 일등 자리를 내주지 않았습니다. 스마트폰, 텔레비전, 자동차, 신용카드 그리고 여권까지 우리 일상 어디서나 만날 수 있지요. 전자산업에 필수! 그래서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이것. 세계 최초로 연간 수출액 1,000억 달러, 누적 1조 달러를 넘어선 자랑스러운 국가대표지요. 이게 뭐냐고요? 바로 반도체입니다. 요즘 이 반도체 때문에 “한국 경제에 ‘빨간불’이 들어왔다”는 말들이 뉴스에서 들립니다. 한국에서 반도체는 대체 어떤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걸까요?

현대 전자문명을 연 반도체는 1947년 벨 연구소가 트랜지스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며 시작됐습니다. 반도체는 수 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손톱만 한 칩에 넣은 형태죠. 이를 ‘집적회로(IC)’라고 합니다. 이 위대한 발명 덕분에 더 가볍고, 얇고, 짧고, 작게 만들기 위한 오늘날 전자기기의 경쟁도 가능한 거죠. 이 반도체 시장에서 ‘넘사벽’ 1등은 바로 한국입니다. 삼성전자는 D램과 NAND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1992년 이후 지금까지 28년간 쭉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한 한국 반도체는 무려 18년 동안 세계 1위 자리를 단 한 번도 내주지 않고 있고요. 참 대단하죠?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 걸까요.



초기 반도체 시장은 미국과 일본이 나눠 먹었지요. 주로 군사, 우주 기술에 쓰이다 가전 보급이 확대되며 점차 민간 영역으로 들어왔습니다. 집적회로를 최초로 만든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사를 포함한 모토로라, 페어차일드 등 미국 기업과 히타치, 미쓰비시 등 일본 기업이 7대 3으로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을 차지하고 있었지요. 1980년대 한때 반도체를 둘러싼 미·일 간 갈등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요즘 미·중 무역갈등처럼요. 이 싸움에선 일본이 승리합니다. 1980년대 말 일본이 미국을 점유율에서 앞서게 됐지요.

한국의 반도체 산업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요. 1960년대 미국과 일본은 값싼 노동력에 매력을 느껴 한국에 반도체 생산기지를 세웠습니다. 이때만 해도 단순 제품조립 수준에 불과했는데요. 여기서 등장하는 핵심 인물. 현대판 문익점이자 한국 반도체의 시조새라 불리는 강기동 박사입니다. 그는 당시 미국 모토로라에서 반도체 핵심기술을 연구했었는데, 반도체 생산기술을 이식하고자 하는 포부로 한국에 들어와 1974년 한국반도체를 설립했습니다. 하청을 넘어 설계부터 제품 완성까지 반도체의 모든 공정이 가능한 곳이었지요. 한국에 반도체 씨앗이 뿌려지는 순간입니다.

자, 여기서부터 삼성이 등장합니다. 중동전쟁 여파로 세계경제가 오일쇼크에 빠지면서 한국반도체는 공장 준공 2개월 만에 자금난에 빠지게 되지요. 이때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본 당시 이건희 동양방송 이사는 개인재산까지 탈탈 털어 이 회사를 적극적으로 인수하게 됩니다. 숨통이 트인 강기동 박사는 1975년 국내 최초로 트랜지스터 3,000개가 집적된 전자 손목시계용 칩을 개발하며 큰 성공을 거둡니다. 이 시계는 ‘대통령 박정희’라는 이름이 새겨져 외국 국빈들에게 선물되기도 했지요.

강기동 박사. /사진제공=SK하이닉스




삼성전자는 9년 뒤인 1983년 반도체 산업에 본격적인 출사표를 던지게 됩니다. 이병철 회장이 일본 도쿄에서 갑자기 발표해 유명해진 ‘도쿄선언’입니다. 하지만 반응은 쌀쌀했지요. 무모한 도전이란 평가와 함께 업계의 냉소가 이어졌습니다. 당시 청와대에서조차 ‘사업 자제’를 요청할 정도였지요. 일본 미쓰비시 경제연구소도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에 실패할 수밖에 없는 5가지 이유’를 발표했습니다. 빈약한 내수시장, 빈약한 기술력, 빈약한 산업 생태계 등이 거론됐지요.

그러나 삼성은 9개월 만에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메모리 반도체 64K D램 개발에 성공합니다. 당시 107명의 개발팀은 무박 2일 64㎞를 행군하며 의지를 다졌다고 하지요. 이때 삼성과 함께 대한민국 반도체의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는 SK하이닉스의 전신 현대전자도 중복투자 논란을 무릅쓰고 반도체 산업에 뛰어들게 됩니다. 다시 9년 뒤 삼성은 세계 최초의 64M D램을 개발하며 세상을 놀라게 했지요.

마침내 1993년, 도쿄 선언 10년 만에 삼성은 메모리 강국 일본을 앞지르고 세계 1위 메이커로 올라서게 됩니다. 이후 각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공격적인 설비 투자와 출혈 경쟁을 벌이는 치킨 게임을 벌였지만 한국 반도체는 굳건했습니다. 세계 최초 모델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주도했습니다. 한국 경제에 있어 반도체는 경제 성장을 이끄는 대한민국 대표 상품으로 자리매김합니다.

근데 요즘 뉴스를 보면 ‘한국 반도체가 흔들린다’ ‘반도체발 경제위기가 온다’는 말이 나오잖아요. 지금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한국은 2018년 한 해 6,055억 달러를 수출로 벌어들였습니다. 연간 수출액이 6,000억 달러를 돌파한 것은 한국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지요. 전 세계에서도 프랑스·독일·미국·일본·네덜란드·중국을 포함해 7개국밖에 안 됩니다. 이를 이끈 것이 바로 반.도.체. 한국 전체 수출의 5분의 1을 떠받치고 한국 수출 증가액의 5분의 4 이상을 바로 반도체가 이끌어왔습니다.

삼성전자가 출시한 세계 최초의 64M D램 메모리 반도체. /사진젝제공=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8년 한 해에만 1,267억 달러의 국산 반도체가 수출됐는데 자동차, 컴퓨터 등 완제품이 아닌 부품, 단일 부품만으로 연간 1,000억 달러 이상 해외에 판매한 건 세계 어디에도 없는 전무후무한 기록입니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문제가 있어요. 지난해 한국의 수출은 전년보다 5.5% 늘었습니다. 하지만 반도체를 제외하면 0.6%로 뚝 떨어집니다. 제자리걸음이었다는 얘기지요.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 13개 가운데 자동차, 철강, 무선통신기기, 가전 등 7개 품목은 오히려 수출이 줄었습니다. 반도체가 없었다면 우리 경제가 더 나빠졌다는 뜻이겠지요.

지금까지 한국 경제가 반도체에 거는 기대가 무지 컸지요. 그런데 이 반도체마저 흔들리면서 한국 경제가 위기에 빠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초만 하더라도 수출 증가율이 40~50%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9월 28.3%, 11월 11.6%로 떨어지더니 12월에는 -8.3%를 기록했습니다. 반도체 월 수출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은 2년3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반도체 가격도 고점을 찍고 추락하고 있어요. 경기가 나빠지자 반도체를 많이 쓰는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이 서버 투자를 줄이고 있기 때문이지요. 게다가 중국, 대만 업체들이 대대적인 투자에 나서면서 공급과잉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죠. 중국은 정부 주도로 반도체 산업에 초기 1,600억 위안(26조 5,000억원)을 투자하고 3,000억 위안(50조원)을 추가로 쏟아 부으며 ‘반도체 굴기’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중 무역분쟁으로 중국의 반도체 굴기가 차질을 빚고 있긴 하지만 향후 저가·물량 공세의 중국 반도체 시장이 커질수록 한국 반도체엔 또 어떤 악수로 작용할지 두렵습니다.

한발 더 나아가 PC와 스마트폰이 견인했던 메모리 반도체 시장도 한계에 이르렀다는 지적마저 나옵니다. 이제는 단순 저장장치보다 데이터를 분석하고 제어를 담당하는 시스템 반도체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요. 반도체 시장에서 시스템 즉 비메모리 비중은 70%에 이르는데 이 영역에서 한국 기업 점유율은 3% 남짓 대만이나 중국에도 밀리는 수준입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일각에선 메모리에 치중한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Built on Sand (사상누각에 불과하다)”(앤드류 노우드 가트너 부사장)라는 일각의 극단적인 평가도 나옵니다. 최근 한국 경제는 내수가 침체된 가운데 수출이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는 경기 호황을 맞아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었지요. 이 때문에 반도체 실적이 악화할 경우 한국 경제성장률이 함께 둔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한국의 반도체가 이대로 무너질 리 없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이 나빠졌다면 다른 회사는 더 어려울 수 밖에 없겠지요. 두 회사는 반도체 경기가 꺾인 틈을 타 2위권과 차이를 더 벌리는 ‘초격차’ 전략에 나섰습니다. 과감한 투자와 앞선 기술력으로 후발 주자들이 추격할 엄두를 못 내도록 하겠다는 것이지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019년 1월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이제 진짜 실력이 나올 때”라며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삼성전자는 3년간 반도체 시설 투자와 기술 개발에 180조원을 투자한다고 하네요. SK하이닉스도 앞으로 10년간 120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고 합니다.

반도체는 그동안 우수한 실적으로 경제가 어려울 때마다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지요. 반도체 산업은 앞으로도 꾸준히 확대될 전망입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드론, 자율주행차 등 반도체를 필요로 하는 곳이 더 많아지거든요. 이제 진짜 승부는 여기서 시작합니다. 한국 반도체는 과연 또 하나의 성공 신화를 쓸 수 있을까요? /박동휘·강신우기자 slypdh@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